전력 과잉생산 풍력발전 올해만 46차례 강제 가동중단
1·2연계선 타지역 전송 불가능 3연계선 사업 지지부진
한림해상풍력 착공 예정…대책 마련까지 속도조절 시급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자료사진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자료사진

제주지역에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확대되면서 전력계통의 과부하가 발생, 수시로 멈춰서고 있다. 잉여전력에 대한 대책도 없이 도내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도 추가로 진행되면서 애물단지로 전락할 우려를 낳고 있다.

제주도와 한국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제주지역 전력설비용량은 1868㎿로 이중 신재생에너지 전력설비는 풍력 290㎿와 태양광 260㎿ 등 560㎿로 30%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제1연계전력선(삼양동-전남 해남군), 제2연계선로(해안동-진도군)가 400㎿이며, 908㎿를 화력 등 내연발전소가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도내 전력공급이 남아돌면서 풍력발전기가 강제로 멈춰서는 상황이 잦아지고 있다. 풍력발전의 출력제한은 2017년 14회 2018년 15회에서 2019년 46회로 급증했고, 올해도 1~8월까지 45회에 달했다.

제주도는 카본프리아일랜드2030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등에서 생산한 잉여전력을 전력저장장치(ESS)에 충전하거나, 연계선을 통해 타 지역으로 판매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ESS장치는 실용화하기에는 기술력이 떨어지고, 1·2연계선은 제주서 타지역으로 전송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현재 신재생에너지 접속한계용량은 590㎿로 95%를 차지하는 등 최대운전 가능량에 한계에 도달했다.

제주서 타지역으로 전송이 가능한 200㎿규모의 제3연계선(동제주-완도군) 건설사업은 당초 2018년 착공해 2021년 6월 준공할 예정이었지만 완도지역의 거센 반발로 착공조차 못했다.

한전과 제주도는 2024년까지 준공키로 했지만 확실하지 않으며, 완공돼도 현재 개발·계획중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에 비해 부족하다.

이런 상황에서 개발시행승인을 받은 100㎿급 제주한림해상풍력 발전사업이 연내 착공할 예정이다. 105㎿급의 한동·평대 해상풍력발전사업도 환경영향평가 도의회 심의에 들어간다.

제3연계선 건설사업과 ESS실용화, 도내 계통한계용량 확대 등 잉여전력에 대한 해결방안이 완료될 때까지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건설사업에 대한 속도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용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